주택을 임대해 얻는 소득은 임대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. 특히 월세뿐 아니라 전세보증금에 대해서도 간주임대료를
기준으로 과세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1. 임대소득세 과세 기준
- 월세 소득: 과세 대상
- 전세 보증금: 일정 조건 시 간주임대료 과세
- 주택 수 2채 이상 + 보증금 총액 3억 초과 시 간주임대료 발생
2. 간주임대료 계산법 (2025년 기준)
간주임대료 = (보증금 합계 – 3억 원) × 정기예금이자율 (2.5%)
예: 보증금 5억 원 → (5억 – 3억) × 2.5% = 연 500만 원 과세
3. 주택 수 계산 기준
- 1주택: 비과세
- 2주택 이상: 연 2천만 원 이하 소득은 분리과세(14%) 가능
-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
4. 필요경비 공제
임대소득세는 필요경비를 공제한 후 과세됩니다. 공제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재산세, 수선비, 감가상각비
- 중개수수료, 관리비 부담분 등
5. 신고 방법
- 매년 5월,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
- 간편 장부 또는 복식 부기 선택 가능
주의: 임대소득 미신고 시 가산세 및 추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 신고 필수!
2025년 9월 기준 최신 임대소득세 규정 반영
'2025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주택자의 보유세 전략: 법인전환 vs 증여, 무엇이 유리한가? (1) | 2025.09.19 |
---|---|
부동산 보유세 계산기 활용법 및 실전 계산 예시 (0) | 2025.09.19 |
2025년 취득세 감면 대상 총정리: 생애최초·신혼부부·농어촌주택 (0) | 2025.09.18 |
부동산 증여세 & 상속세 계산 방법과 신고 절차 안내 (0) | 2025.09.18 |
1가구 2주택자 세금 폭탄 피하는 법: 중과세 회피 전략 (0) | 2025.09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