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2025

부동산 임대소득세 제대로 알기: 월세·전세보증금 과세 기준

by 라이트_온 2025. 9. 18.

주택을 임대해 얻는 소득은 임대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. 특히 월세뿐 아니라 전세보증금에 대해서도 간주임대료를

기준으로 과세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.

1. 임대소득세 과세 기준

  • 월세 소득: 과세 대상
  • 전세 보증금: 일정 조건 시 간주임대료 과세
  • 주택 수 2채 이상 + 보증금 총액 3억 초과 시 간주임대료 발생

2. 간주임대료 계산법 (2025년 기준)

간주임대료 = (보증금 합계 – 3억 원) × 정기예금이자율 (2.5%)
예: 보증금 5억 원 → (5억 – 3억) × 2.5% = 연 500만 원 과세

3. 주택 수 계산 기준

  • 1주택: 비과세
  • 2주택 이상: 연 2천만 원 이하 소득은 분리과세(14%) 가능
  • 2천만 원 초과 시 종합과세 대상

4. 필요경비 공제

임대소득세는 필요경비를 공제한 후 과세됩니다. 공제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재산세, 수선비, 감가상각비
  • 중개수수료, 관리비 부담분 등

5. 신고 방법

  • 매년 5월,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종합소득세 신고
  • 간편 장부 또는 복식 부기 선택 가능

주의: 임대소득 미신고 시 가산세 및 추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 신고 필수!

2025년 9월 기준 최신 임대소득세 규정 반영